본문 바로가기

대한의 혼

신교의 낭가郞家사상: 삼랑三郞은 삼신상제를 수호하는 관직

신교는 동방 한민족이 9천 년 역사를 지속할 수 있게 한 역사의 혼이다. 이러한 신교 정신을 직접 실천하고 신교를 바탕으로 새 문명을 열고 나라를 개창한 ‘역사 개척의 집단’ 이 있었다. 그들이 바로 낭가郞家이다.

한민족사는 낭가에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환국 말기에 환인천제 로부터 천부와 인을 받은 환웅을 따라 이주하여 배달을 세운 3천 명의 제세핵랑濟 世核郞이 낭가의 시초이다. 이 최초의 핵랑의 정신을 살려 배달은 삼랑三郞 제도를 시행하였다.

'태백일사』「신시본기」에 인용된『고려팔관잡기高麗八觀雜記」에는 삼랑의 뜻을 이렇게 전한다.
삼랑三郞은 배달신倍達臣이다. … ‘백성을 교화하고 형벌과 복敎化威福’ 을 맡은 자를 ‘랑郞’ 이라 하며, … 지금 혈구穴口에 삼랑성 三郞城이 있는데 이것은 곧 삼랑三郞이 머무는 장소이다. 낭郞은 곧 삼신상제를 수호하는 관직이다.

삼랑은 배달 시대에 삼신상제님을 수호하는 관직이었다. 그래서 상제님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백성의 잘잘못을 가려 복을 주기도 하고 벌을 주기도 하였다. 한마 디로 삼랑은 신교 정신으로 무장한 신교의 수호자이자 국가와 백성의 수호자였다.

배달의 삼랑은 고조선 시대에도 그 이름이 계속 전승되었다. 초대 단군이 재위 50년에 큰 홍수를 치른 후, 그 이듬해에 지금의 강화도에 성을 쌓고 그곳 마리산 에 제천단을 쌓게 하였는데, 그 성을 삼랑성三郞城이라 하였다. 삼신과 나라를 수호한 삼랑의 정신으로 백성을 재난에서 지키겠다는 단군왕검의 의지의 표현인 것이다.

13세 홀달단군에 이르러 단군이 고조선 전역에 소도를 많이 설치하여 신교를 진작시키면서 출범시킨 '국자랑國子郞‘ 이 고조선의 정식 낭가이다. 미혼의 자제들 중에서 선발된 이들은 소도 바로 옆에 지은 경당에서 글공부를 하며 활쏘기, 말 달리기, 검술 등으로 체력을 단련하고, 예절, 가악을 배우고 익혔다. 고조선 삼한의 경당에서 ‘문무를 겸비한 인재' 가 나라의 동량으로 배출된 것이다. 국자랑은 밖에 다닐 때 머리에 천지화天指花를 꽂고 다녔으므로 '천지화랑天指花郞' 이라고도 불렀다.

환국 말기에 비롯되어 배달을 개척한 제세핵랑은 배달 시대의 삼랑과 단군조선의 국자랑을 거쳐 북부여의 천왕랑天王郞 -->고구려의 조의선인 • 백제의 무절武節 • 신라의 화랑花郞 —> 고려의 재가화상在家和尙(서긍의「고려도경」) • 선랑仙 郞 • 국선國仙 등으로 계승되었다.(박성수, 단군문화기행, 137쪽)

그 후 한민족의 낭가사상은 고려 시대 윤관의 9성 정벌 때는 항마군으로. 대몽항쟁 때에는 ‘삼별초三別抄’ 로 이어졌다.

고려가 끝나고 유교사회 조선이 들어선 후 낭가의 명맥이 극도로 쇠잔해졌으나, 그 정신만은 한민족의 역사의식 속에 뿌리 깊이 잠재되어 ‘조선 시대의 선비정신’, ‘갑오 동학혁명’, ‘의병운동’ 등으로 끊임없이 표출되었다. 한민족의 낭가 제도는 시대를 달리하며 그 명칭은 바뀌었지만 새 역사 개척의 원동력이자 추진력으로 면면히 계승되어 온 것이다.

지금까지 한민족 우주사상의 원형이자 인류의 시원 문화인 신교의 역사를 살펴 보았거니와. 지난 인류사를 한 그루 유실수의 생장 과정에 비유한다면 인류는 뿌리문화 시대와 줄기문화 시대를 살아왔다.
뿌리문화 시대는 온 인류가 신교의 단일 문화권 안에서 삼신상제님을 우러르며 살았던 때이다.

 문명사적으로 보면, 9천 년 전 중앙아시아의 천산에서 환국이 탄생하고 그 환국에서 동서남북으로 세계 문명이 분화된 때이다. 동쪽으로는 동북아 문명과 아메리카 인디언 문명이 태동하고, 남쪽과 서쪽으로는 수메르 문명과 이를 계승한 메소포타미아 문명, 이집트 문명, 유대 문화 등이 나타났으며, 북쪽으로는 초원에서 북방 문명이 생겨났다. 문명권은 이렇게 다양하게 나누어졌지만, 뿌리문화 시대에 전 인류는 신교 또는 신탁神託을 통해 천상의 절대자와 직접 교감하며 살았다.

그 후 BCE 500년을 전후하여 지구촌의 각 지역 문화권에서 위대한 성자와 철인이 출현하여 인류 문명이 획기적으로 도약하였다. 줄기문화 시대가 시작된 것이다. 인류의 원형 종교인 신교의 뿌리문화 시대가 끝나고 유교, 도교, 불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줄기문화 시대로 이어져 다양한 종교가 생겨났다.

공자, 노자, 예수, 석가 등이 종교 문화를 일구는 동안,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같은 철인들이 대거 나타나 철학의 세계를 개척하였다. 또한 17세 기 이후에는 과학이 발달하여 종교. 철학과 더불어 줄기문화 시대에 문명의 3대 축을 이루었다.
그런데 이제 인류는 성숙기의 열매문화 시대를 앞두고 있다. 달리 말해서 지금 우리는 모든 인류 문화와 역사가 그 시원처로 돌아가 하나로 수렴되는 원시반본原始 返本의 시대를 살고 있다. 때문에 유교,불교,도교,기독교, 이슬람교 등으로 분화 된 인류의 종교 문화도 장차 하나로 통일된다. 그 통일과 수렴의 중심에 동서 문화의 모체인 신교가 있다. 인류의 뿌리문화인 신교가 유불선 줄기문화로 분열되었다가 이제 하나의 열매문화로 완성됨으로써 인류사에 새 시대, 새 문명을 열게 된다.

 

출처:환단고기 완역본(안경전 저, 상생출판2012)